Welcome to UNIST College of Engineering

UNIST 공과대학

공과대학은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가 해야하는
연구를 추구합니다.

공과대학은 UNIST 비전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이를 위해 교육에서는 인류애와 사회적 소명의식으로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양성에 주력하고, 연구에서는 융합기술 개발과 발전을 도모하며 누구나 할 수 있는 연구가 아닌 우리가 해야 하는 연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연구뉴스

유니스트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소식들을 전합니다.

2025.11.19연구

이산화탄소를 ‘돈 되는 화학물질’로 바꾼다!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인 포름산으로 전환하는 생산 시스템이 나왔다. 기존보다 전력 소모를 1/4 수준으로 줄이고, 생산량은 세 배 가까이 늘어난 시스템이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와 에너지화학공학과 권영국·이재성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포름산으로 바꾸는 ..
more..
2025.11.18뉴스

UNIST 교원 9명, ‘세계 상위 1% 연구자’ 선정

UNIST 교원 9명이 ‘2025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 연구자(HCR)’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 상위 1% 수준으로 평가받는 연구자로, 서울대에 이어 국내 두 번째 규모다. 지난해보다 2명 증가했다. 클래리베이트(Clarivate)는 현지 시각으로 지난 12일, ‘2025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
more..
2025.11.14연구

배터리 노화 “산소 원천 차단”… 장거리 주행 배터리 수명 2.8배↑

장거리 주행 전기차 배터리인 ‘고전압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고 폭발 위험은 줄이는 젤 형태 물질이 개발됐다. 고전압 배터리 ‘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 생성을 아예 차단하는 물질로, 이 물질을 적용하자 배터리 수명은 2.8배 늘고, 부풀어 오름도 1/6 수준으로 줄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송현곤 ..
more..
2025.11.12뉴스

‘세계 석학 초청’ UNIST 제1회 전기화학 파이오니어 심포지엄 개최

UNIST가 세계적인 전기화학 분야 석학들을 울산으로 불러모은다. 배터리·AI·탄소중립으로 이어지는 차세대 에너지 기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에너지화학공학과는 13~14일, 대학본부 대강당에서 ‘제1회 UNIST 전기화학 파이오니어 심포지엄(The 1st UNIST Electrochemistry Pioneer Symposium, UEPS 2025)’을 개최한다...
more..
2025.11.07뉴스

정임두 교수팀, 과기부 AI 챔피언 대회 장관상·AI 임팩터상!

기계공학과·인공지능대학원 정임두 교수 연구팀이 산업 현장 ‘소음 문제’를 AI 기술로 해결하며 전국 무대에서 우수한 성과를 냈다. ‘세이프엔젤(SafeAngel)’ 팀은 5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5년도 AI 챔피언 대회’ 본선에서 최종 3위를 차지해 과기부 장관..
more..
2025.11.05연구

‘도시 광산’ 폐배터리에서 니켈, 코발트 99% 순도로 추출한다!

국내 연구진이 폐배터리 속 니켈과 코발트를 99%의 초고순도로 95% 이상 회수하는 재활용 기술을 개발했다. 복잡한 화학 공정과 다량의 폐수를 발생시키는 기존 습식 재활용 방식의 한계를 넘는 친환경·고효율 기술로, 배터리 재활용 산업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UNIST ..
more..
2025.10.31연구

매트리스·옷감 원료 ‘프로필렌 옥사이드’ 친환경 생산 기술 개발

전기나 태양에너지 없이 친환경적으로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생산하는 자가 구동 시스템이 개발됐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소파·매트리스의 재료인 폴리우레탄, 옷감과 생수병에 쓰이는 폴리에스터 등 일상 소재 생산에 쓰이는 원료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자훈·장지욱 교수, 전남대학교 조성..
more..
2025.10.28연구

이산화탄소보다 310배 강한 온실가스 저온 고속 분해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보다 310배 더 강한 온실효과가 있는 아산화질소(N2O)를 실온 수준에서 거의 100%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엔진 배기가스, 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를 에너지 효율적으로 처리해 온실가스 저감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 에너지화..
more..

UNIST

공과대학 교원소개

지속적인 교육의 다양화를 통해 최고의 교육과 대학생활을 보장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교수교직원

기계공학과

  • 강상훈 교수
  • 권철현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건호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남훈 교수
  • 김병주 교수
  • ...

원자력공학과

  • 김지현 교수
  • 김희령 교수
  • 민병주 교수
  • 박재영 교수
  • 방인철 교수
  • 손동성 교수
  • 유승창 교수
  • ...

도시환경공학과

  • 권성우 교수
  • 권영남 교수
  • 김건 교수
  • 김민철 교수
  • 김병민 교수
  • ...

신소재공학과

  • 권순용 교수
  • 김주영 교수
  • 김지윤 교수
  • 박성수 교수
  • 박혜성 교수
  • 서준기 교수
  • ...

에너지화학공학과

  • 강석주 교수
  • 고현협 교수
  • 곽상규 교수
  • 곽자훈 교수
  • 권영국 교수
  • 김건태 교수
  • 김동혁 교수
  • ...

반도체 소재ㆍ부품 대학원

  • 서정곤 교수
  • 신태주 교수
  • 윤태식 교수
  • 정홍식 교수
  • 정후영 교수

UNIST 공과대학

대학 웹진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행사와 학교 생활의 이모저모를 사진과 영상으로 살펴보세요.

공대에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