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UNIST College of Engineering

UNIST 공과대학

공과대학은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가 해야하는
연구를 추구합니다.

공과대학은 UNIST 비전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이를 위해 교육에서는 인류애와 사회적 소명의식으로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양성에 주력하고, 연구에서는 융합기술 개발과 발전을 도모하며 누구나 할 수 있는 연구가 아닌 우리가 해야 하는 연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연구뉴스

유니스트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소식들을 전합니다.

2025.02.20연구

“겨울에도 빠른 충전”…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은 유기 음극 개발

고속 충전 배터리 소재의 한계였던 용량과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기 음극 소재가 개발됐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강석주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안석훈 박사팀은 리튬이온배터리용 고결정성 유기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겨울철에는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속도가 느..
more..
2025.02.19연구

바닷물로 전기 저장하는‘해수전지’, 나무 찌꺼기로 성능 높인다!

해수전지는 바닷물로 전기를 저장하고 꺼내 쓸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다. 상용화 관건은 값싼 촉매 물질 개발인데 UNIST 연구진이 이러한 촉매를 개발했다. UNIST 이동욱 교수팀은 목재 폐기물에 요소를 첨가해 해수전지용 고성능 촉매를 개발했다. 개발된 촉매는 해수전지에 걸리는 과전압을 낮추..
more..
2025.02.18연구

‘인공태양’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000배↑ AI 개발

핵융합로 안의 플라즈마 상태를 기존보다 1,000배 빠르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됐다. UNIST 원자력공학과 이지민·윤의성 교수팀은 플라즈마 상태를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의 해를 가속화 해 구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모델 ‘FPL-net’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핵융합 발전, 일..
more..
2025.02.13뉴스

UNIST 대학원생 3명,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은상 수상

UNIST 대학원생 3명이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에너지·환경, 신호처리, 기초과학 분야에서 사회와 산업에 영향을 미칠 연구를 발표했다. UNIST는 2015년 이후 매년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연구력을 입증해 왔다. 특히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대상 1건..
more..
2025.02.12연구

UNIST·연세대 공동 연구진, 고분자 응집력 강화 원리 밝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동욱 교수 연구팀이 연세대학교 화학과 김병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고분자의 응집력을 강화하는 핵심 원리로 ‘음이온-π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홍합 족사 단백질을 모방한 ..
more..
2025.02.12연구

‘공기’로 전기 만드는 배터리, 첨가제 넣어 더 효율적으로 오래 쓴다!

공기를 전극으로 쓰는 리튬공기배터리의 수명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첨가제가 개발됐다.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보다 용량이 최대 5배 이상 큰 리튬공기배터리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 곽원진 교수팀은 아주대 화학과 서성은 교수팀, 미국 오벌린대학교 슈밍첸( Shuming Chen)교수팀..
more..
2025.02.04연구

“한 번 충전으로 서울 부산 왕복”.. 고성능 건식 배터리전극 개발

한 번 충전으로 서울 부산 왕복이 가능한 배터리 전극이 개발됐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정경민 교수팀은 건식 공정을 통해 기존보다 5배 두꺼운 배터리 전극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건식 전극을 적용하면 배터리 용량은 늘리고 빠른 충전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화학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공..
more..
2025.01.24연구

“항암제도 상처치료제도 쏙쏙 전달”.. 무독성 하이드로젤 개발

말랑말랑한 단백질 ‘젤’에 약물 넣어 원하는 부위에만 약효가 퍼지게 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 생명과학과 강세병 교수팀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주진명교수, 신소재공학과 차채녕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자가 가교형 단백질 하이드로젤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단백질 하이드로젤은 약..
more..

UNIST

공과대학 교원소개

지속적인 교육의 다양화를 통해 최고의 교육과 대학생활을 보장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교수교직원

기계공학과

  • 강상훈 교수
  • 권철현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건호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남훈 교수
  • 김병주 교수
  • ...

원자력공학과

  • 김지현 교수
  • 김희령 교수
  • 민병주 교수
  • 박재영 교수
  • 방인철 교수
  • 손동성 교수
  • 유승창 교수
  • ...

도시환경공학과

  • 권성우 교수
  • 권영남 교수
  • 김건 교수
  • 김민철 교수
  • 김병민 교수
  • ...

신소재공학과

  • 권순용 교수
  • 김주영 교수
  • 김지윤 교수
  • 박성수 교수
  • 박혜성 교수
  • 서준기 교수
  • ...

에너지화학공학과

  • 강석주 교수
  • 고현협 교수
  • 곽상규 교수
  • 곽자훈 교수
  • 권영국 교수
  • 김건태 교수
  • 김동혁 교수
  • ...

반도체 소재ㆍ부품 대학원

  • 서정곤 교수
  • 신태주 교수
  • 윤태식 교수
  • 정홍식 교수
  • 정후영 교수

UNIST 공과대학

대학 웹진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행사와 학교 생활의 이모저모를 사진과 영상으로 살펴보세요.

공대에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