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UNIST College of Engineering

UNIST 공과대학

공과대학은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가 해야하는
연구를 추구합니다.

공과대학은 UNIST 비전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이를 위해 교육에서는 인류애와 사회적 소명의식으로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양성에 주력하고, 연구에서는 융합기술 개발과 발전을 도모하며 누구나 할 수 있는 연구가 아닌 우리가 해야 하는 연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연구뉴스

유니스트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소식들을 전합니다.

2025.04.24뉴스

강상훈 교수팀, 고령자 재활기기 ‘모빌라이즈’ 선봬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서 고령자 맞춤형 스마트 재활기기 ‘모빌라이즈(MOBILISE)’가 처음 공개됐다. 기계공학과 강상훈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기는 고령자들의 자립을 돕고, 지역 중심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16일부터 20일까지 열린 행사에서는 강 교수팀 전시부스를 찾은 1000여 명의 관람..
more..
2025.04.22연구

차세대 배터리 양극재 성능 저하 원인 규명

신소재공학과 이현정 교수팀은 차세대 배터리 양극 소재인 리튬니켈망간산화물 단결정 양극재의 내부 균열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소재 설계 전략을 함께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영국 글래스고대학교 관첸 리 박사, 경북대학교 이지훈 교수팀과 함께 했다. 리튬니켈망간산화물은 4.7V..
more..
2025.04.18연구

게임 산업 기술로 ‘인공태양’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5배 향상

게임에서 총알이 적을 맞췄는지를 판별하는 기술로 핵융합로 내벽으로 돌진하는 고속입자의 충돌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이 나왔다. 복잡한 3차원 구조에서도 충돌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어, 향후 핵융합로의 안정성과 설계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됐다. UNIST 원자력공학과 윤의성 교수팀은 가상 핵융합 ..
more..
2025.04.16연구

사탕수수 찌꺼기로 그린 수소 만든다!…태양광 수소 생산 기술 개발

사탕수수 찌꺼기와 햇빛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욱·서관용 교수팀은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팀과 함께 사탕수수 찌꺼기에서 나온 바이오매스와 실리콘 광전극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외부 전력 없이 오직 햇빛만으로 수소..
more..
2025.04.07연구

교실, 급식실 떠도는 독감 바이러스 측정하는 기술 개발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주춤했던 독감이 개학을 맞아 다시 유행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질병인데, 실내 공기를 떠도는 이 바이러스를 빠르게 찾아내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학교, 병원 등에서 독감, 코로나 같은 바이러스성 감염병을 조기에 감지하고, 확..
more..
2025.04.04뉴스

무사고 2,000일 그 목표를 향한 큰 걸음

에너지화학공학과에서는 1일(화) ‘2025년 울산소방본부 합동 안전 실전 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다수의 학과 구성원이 ‘합동 안전 실전 교육’을 참여하여 실질적인 안전사고 대응력 강화에 앞장섰다. 교육은 응급처치 교육, 화재 대피(완강기 탈출) 및 화재 진압 교육(소화기, 소화전 운영), 연구실..
more..
2025.04.03연구

“어디서 왔는지 알아낸다”… 대기 중 수은 오염원 평가법 개발

대기 중 수은의 출처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최성득 교수팀은 대기 중 수은 출처와 공간적·계절적 분포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평가기술을 개발했다. 고해상도 대기모니터링과 수은 동위원소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수은은 다양한 동..
more..
2025.03.31연구

유기 양이온의 특이성을 조합한 박막 제어…태양전지 내구성·효율 향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상용 실리콘 전지와 달리 얇고 가벼워 건물 외벽이나 차량 지붕처럼 곡면이 있는 곳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용액 공정으로 상온에 쉽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 비용도 낮다. 상용화를 위해서는 높은 효율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 개발이 중요한데, 국내 연구진이 이러..
more..

UNIST

공과대학 교원소개

지속적인 교육의 다양화를 통해 최고의 교육과 대학생활을 보장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교수교직원

기계공학과

  • 강상훈 교수
  • 권철현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건호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남훈 교수
  • 김병주 교수
  • ...

원자력공학과

  • 김지현 교수
  • 김희령 교수
  • 민병주 교수
  • 박재영 교수
  • 방인철 교수
  • 손동성 교수
  • 유승창 교수
  • ...

도시환경공학과

  • 권성우 교수
  • 권영남 교수
  • 김건 교수
  • 김민철 교수
  • 김병민 교수
  • ...

신소재공학과

  • 권순용 교수
  • 김주영 교수
  • 김지윤 교수
  • 박성수 교수
  • 박혜성 교수
  • 서준기 교수
  • ...

에너지화학공학과

  • 강석주 교수
  • 고현협 교수
  • 곽상규 교수
  • 곽자훈 교수
  • 권영국 교수
  • 김건태 교수
  • 김동혁 교수
  • ...

반도체 소재ㆍ부품 대학원

  • 서정곤 교수
  • 신태주 교수
  • 윤태식 교수
  • 정홍식 교수
  • 정후영 교수

UNIST 공과대학

대학 웹진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행사와 학교 생활의 이모저모를 사진과 영상으로 살펴보세요.

공대에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