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UNIST College of Engineering

UNIST 공과대학

공과대학은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가 해야하는
연구를 추구합니다.

공과대학은 UNIST 비전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이를 위해 교육에서는 인류애와 사회적 소명의식으로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양성에 주력하고, 연구에서는 융합기술 개발과 발전을 도모하며 누구나 할 수 있는 연구가 아닌 우리가 해야 하는 연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연구뉴스

유니스트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소식들을 전합니다.

2025.10.31연구

매트리스·옷감 원료 ‘프로필렌 옥사이드’ 친환경 생산 기술 개발

전기나 태양에너지 없이 친환경적으로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생산하는 자가 구동 시스템이 개발됐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소파·매트리스의 재료인 폴리우레탄, 옷감과 생수병에 쓰이는 폴리에스터 등 일상 소재 생산에 쓰이는 원료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자훈·장지욱 교수, 전남대학교 조성..
more..
2025.10.28연구

이산화탄소보다 310배 강한 온실가스 저온 고속 분해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보다 310배 더 강한 온실효과가 있는 아산화질소(N2O)를 실온 수준에서 거의 100%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엔진 배기가스, 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를 에너지 효율적으로 처리해 온실가스 저감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 에너지화..
more..
2025.10.28연구

“서울 미세먼지는 반사형, 멕시코시티는 흡수형”.. 성분별 광학 특성 규명

서울과 멕시코시티의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는 같은 초미세먼지(PM2.5)라도 ‘성격’이 달랐다. 서울은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성분이 많았고, 멕시코시티는 햇빛을 흡수해 온난화를 일으키는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박상서 교수팀은 전 세계 14개 ..
more..
2025.10.26뉴스

“빈 점포가 도시정책 실험실로” UNIST 공공디자인 전시 개최

울산 도심 속 빈 점포가 시민과 도시의 미래를 상상하는 실험실로 바뀐다. UNIST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울산 남구 삼산동에서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공디자인 실험실 2025 [탄소중립 도시 울산을 위한 정책 상상]’ 전시를 연다. 행사는 UNIST 도시미래전략연구센터가 주관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
more..
2025.10.23연구

UNIST·서울대·포스텍, 전고체 배터리 열화 원인 규명

*본 연구 성과 보도자료는 서울대학교 주관으로 작성되었습니다.(바로가기)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김동혁 교수, 서울대첨단융합학부 정성균 교수팀, 그리고 POSTECH 홍지현 교수팀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기반 전고체전..
more..
2025.10.17연구

오팔 보석 빛깔의 고분자 입자 합성 기술 개발!.. 비결은 구멍 송송 나노구조

플라스틱 등에 쓰는 고분자 소재로 오팔 보석의 영롱한 빛깔 지닌 입자를 합성하는 기술이 나왔다. 고분자 입자 안에 나노 구멍을 내 오팔 보석의 내부 구조와 닮게 하는 방식이다. 화학 염료를 쓰지 않고도 선명하고 바래지 않는 색을 낼 수 있어, 화장품·보안소재·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쓸 수..
more..
2025.10.17연구

센서 하나로 원전 139개 지점 지진 피해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원자력 발전소의 보조 건물에 몰려있는 배전반·비상발전기 같은 전기 설비는 진동에 취약하다. 실제 2016년 경주 지진 때도 콘크리트 건물은 멀쩡했지만 전기 설비 점검을 위해 가동을 중단한 바 있는데, 이를 일일이 점검하지 않고도 보수가 필요한 전기 설비를 신속히 가려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UNIS..
more..
2025.10.15연구

폐태양광 패널로 수소·이차전지 소재 만든다!

암모니아에 저장된 수소를 실리콘을 넣어 추출하는 기술이 나왔다. 추출 과정에서 이 실리콘은 이차전지 원료로 탈바꿈돼, 수소 생산 비용은 줄이고 폐태양광 패널의 실리콘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교수팀은 암모니아에서 순도 100% 수소를 분리해내는 ..
more..

UNIST

공과대학 교원소개

지속적인 교육의 다양화를 통해 최고의 교육과 대학생활을 보장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교수교직원

기계공학과

  • 강상훈 교수
  • 권철현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건호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남훈 교수
  • 김병주 교수
  • ...

원자력공학과

  • 김지현 교수
  • 김희령 교수
  • 민병주 교수
  • 박재영 교수
  • 방인철 교수
  • 손동성 교수
  • 유승창 교수
  • ...

도시환경공학과

  • 권성우 교수
  • 권영남 교수
  • 김건 교수
  • 김민철 교수
  • 김병민 교수
  • ...

신소재공학과

  • 권순용 교수
  • 김주영 교수
  • 김지윤 교수
  • 박성수 교수
  • 박혜성 교수
  • 서준기 교수
  • ...

에너지화학공학과

  • 강석주 교수
  • 고현협 교수
  • 곽상규 교수
  • 곽자훈 교수
  • 권영국 교수
  • 김건태 교수
  • 김동혁 교수
  • ...

반도체 소재ㆍ부품 대학원

  • 서정곤 교수
  • 신태주 교수
  • 윤태식 교수
  • 정홍식 교수
  • 정후영 교수

UNIST 공과대학

대학 웹진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행사와 학교 생활의 이모저모를 사진과 영상으로 살펴보세요.

공대에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