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UNIST College of Engineering

UNIST 공과대학

공과대학은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가 해야하는
연구를 추구합니다.

공과대학은 UNIST 비전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이를 위해 교육에서는 인류애와 사회적 소명의식으로 시대를 리드하는 인재양성에 주력하고, 연구에서는 융합기술 개발과 발전을 도모하며 누구나 할 수 있는 연구가 아닌 우리가 해야 하는 연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연구뉴스

유니스트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소식들을 전합니다.

2025.06.24연구

인공나뭇잎, 드디어 상용화를 향한 문을 열다!

태양에너지를 수소로 직접 전환하는 인공광합성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효율·장기 안정성·확장성을 모두 만족하는 인공나뭇잎 모듈이 개발된 것이다.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그린 수소 생산 기술에 큰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석상일·..
more..
2025.06.24뉴스

로봇의 눈과 뇌 키우는 기술… 국제 로봇 학회서 주목

로봇의 눈과 뇌를 키우는 기술이 국제 로봇학회인 ICRA에서 공개됐다. 인공지능대학원 주경돈 교수팀과 기계공학과 권철현 교수팀의 성과다. 주경돈 교수팀은 로봇이 실내 공간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여러 대의 로봇이 안정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돕는 두 가지 기술을 공개했다. AiSDF 기술과 CSE(Co-SLAM i..
more..
2025.06.18연구

대장균이 식초 ‘소화’해 소재 원료 만든다!… 실험실 진화로 생산성↑

아세트산을 더 잘 ‘소화’하는 대장균만 살아남도록 유도해 생산 능력을 끌어올리는 진화 기술이 개발됐다. 이 방식으로 얻은 대장균은 아세트산을 친환경 접착제·플라스틱 원료인 이타콘산으로 바꿔내는 능력이 1.7배 뛰어났다. 대장균을 세포 공장처럼 돌려 화학 원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길..
more..
2025.06.17연구

나노 입자를 장난감 블록처럼 쉽게 붙여 산업에 활용!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은 한국전기연구원(KERI) 절연재료연구센터 유승건 박사팀과 함께 단순한 기계적 충돌만으로 무기 나노입자를 고분자 마이크로입자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복합입자 합성 기술’을 개발했다. 고분자 마이크로입자에 기능성 무..
more..
2025.06.16연구

휴대폰 보호필름이 발전소로?… 적외선 흡수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효율 10%가 넘는 반투명 유기태양전지가 나왔다. 창문이나 모바일 기기 화면을 ‘투명 발전소’로 쓸 날이 머지않았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팀은 10.81%의 광전변환효율과 45.43%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기록한 반투명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붕이나 길가의 태양전지가 검..
more..
2025.06.11연구

“쇠구슬만 굴리면 이산화탄소가 천연가스로”.. 기계화학 저온 공정 개발

이산화탄소를 천연가스 주성분인 메탄으로 바꾸는 반응은 대개 300~500℃ 고온에서만 가능한 고비용 공정이다. 그런데 상온에서도 메탄이 나오는 신기술이 나왔다. 원료를 넣고 쇠구슬만 굴리면 된다. 이 기술은 나노분야 최고권위 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지난 5일 공개됐다. U..
more..
2025.06.11뉴스

UNIST-HD현대중공업, 친환경 선박 엔진 기술 협력

UNIST와 HD현대중공업이 친환경 선박 엔진 기술 상용화를 위해 협력에 나섰다. 10일 제5공학관에서 양 기관은 산학협력 현판식과 기술교류회를 열었다. 이번 협력은 UNIST 기계공학과 고신뢰 모빌리티 제어 연구실(이하 HMCL 연구실)이 HD현대중공업 엔진연구소 주관 ‘지능 제어 로직 및 시스템 개발’ 분야 중..
more..
2025.06.09뉴스

권철현 교수팀, 美 IEEE 자율주행 레이싱 대회 2위 쾌거

기계공학과 권철현 교수팀이 지난달 22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제24회 로보레이서 자율주행 그랑프리(Roboracer Autonomous Grand Prix Competition)’ 대회에서 2위에 올랐다. 이번 대회는 2025 국제 로봇 및 자동화 학술대회(IEEE ICRA) 공식 부대 행사로 열렸고, 펜실베이니아대, 취리히연방공대(ETH), 이탈..
more..

UNIST

공과대학 교원소개

지속적인 교육의 다양화를 통해 최고의 교육과 대학생활을 보장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교수교직원

기계공학과

  • 강상훈 교수
  • 권철현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건호 교수
  • 기형선 교수
  • 김남훈 교수
  • 김병주 교수
  • ...

원자력공학과

  • 김지현 교수
  • 김희령 교수
  • 민병주 교수
  • 박재영 교수
  • 방인철 교수
  • 손동성 교수
  • 유승창 교수
  • ...

도시환경공학과

  • 권성우 교수
  • 권영남 교수
  • 김건 교수
  • 김민철 교수
  • 김병민 교수
  • ...

신소재공학과

  • 권순용 교수
  • 김주영 교수
  • 김지윤 교수
  • 박성수 교수
  • 박혜성 교수
  • 서준기 교수
  • ...

에너지화학공학과

  • 강석주 교수
  • 고현협 교수
  • 곽상규 교수
  • 곽자훈 교수
  • 권영국 교수
  • 김건태 교수
  • 김동혁 교수
  • ...

반도체 소재ㆍ부품 대학원

  • 서정곤 교수
  • 신태주 교수
  • 윤태식 교수
  • 정홍식 교수
  • 정후영 교수

UNIST 공과대학

대학 웹진

공과대학·학과의 다양한 행사와 학교 생활의 이모저모를 사진과 영상으로 살펴보세요.

공대에 바란다